천체 사진 에 관한 자료 ( 케논 코리아 이미징 권 오철 작가)
별을 찍을수 있는 Know
1. 준 비물 :
1) 카메라 (DSLR )
2) 랜즈 ( 조리개 가 밝은 랜즈 예 : F 2.0 ~ F 2.8 정도)
3) 릴리저 & 무선 리모콘
4) 삼각대 ( 튼튼 한것 으로 바람에 흔들리지 않을정도 )
5) Battery 충전 최대 ( battery 상태 100 ~ 95% ) 4 ~ 5 HR
( battery 상태 95 ~ 90% ) 3 ~ 4 HR
2. 촬영 선택 모드
1) MANUAL MODE SETING.
2) 연속 촬영 으로 Seting
3. Focusing Seting
1) 카메라 를 삼각대에 장착하고 랜즈 AF 를 MF 로 전환 시킨다.
2) Iso 를 400 ~ 1600 정도 Seting .
3) 조리개 는 최대로 개방하고 15 Sec 로 시작
4) 카메라 라이브 뷰 를 설정하고 액정 화면을 최대한 확대 해서
별 상태를 확인하고 랜즈 MF 를 조절 별이 선명 하도록 초점을 맞춘다.랜즈 초점을 맞춘후 에 초점이 틀어지지 않도록 Tape 로 붙혀둔다.
4. 조리개 의 설정
1) 밤하늘은 매우 어둡기 때문에 조리개 는 최대한 개방한다.
2) 최대개방 할수록 회질이 떨어지기에 1 ~ 2 Step 조여 준다
5. 셔트 seting
1) 짧은 시간( 2~ 5 sec) 노출로 촬영 하면 별이 점으로 나타난다.
2) 장 노출 ( 10 sec 이상) 촬영하면 별이 기다란 궤적으로 나타난다.
3) 궤적의 한계 시간은 촬영하는 방향 , 랜즈 의 화각 , 카메라의 해상도 에 따라 달라진다.
4) 우선 15 sec 로 시작해 본인의 선호도에 따라 결정.
노출이 길수록 노이즈 와 핫픽셀 이 증가한다.
6. 감도 ( Iso ) Seting
1) Iso 는 400 ~ 1600 정도 에서 촬영을 해 보고 조절한다.
2) 고감도 노이즈 감소 기능은 연속 촬영일때 설정 을 하지 안는다.
( 장시간 촬영후 편집할때 노이즈 감소 시간 만큼 사진이 끊어지기 때문)
단 연속 촬영이 아니경우는 설정 ….
7. W B Seting
1) 그늘 등 과 같이 색 온도( K – 7200 이상) 를 높이면 붉게 되고
2) 백열등 텅스텐 과 같이 색온도( K – 5200 이하) 를 낯추면 푸르게 된다.
3) K -3200 ~ 3800 으로 셋팅
· 동절기 일때 카메라 보온 과 랜즈 보온에 신경을 쓰야한다.
핫팩이나 손난로 등으로 …..
'사진 에 관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 사진 (0) | 2013.11.17 |
---|---|
인물사진 에 관한 사항 (0) | 2013.11.17 |
[스크랩] 비룡폭포 (0) | 2013.07.24 |
명암 의 차이를 이용한 암부처리 (0) | 2011.08.26 |
Spot 측광 으로 --- (0) | 2009.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