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이론방에 탑재된 
안개촬영 이론자료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 다양한 상황에서의 안개촬영 요령 >
1. 물안개 촬영 요령
기온이 급강하 하면 강가에 물안개는 실로 환상적이다. 그래도 안개를 만나면 다행이지만 안개주의보를 듣고 나가도 현지엔 안개 씨도 없을 때가 허다하다. 또 안개는 현지에서 기다려야지 한 순간이 지나면 맥없이 사라진다. 이렇게 쉽지 않은 안개촬영이지만 그래도 때만 잘 만나면 보람을 느낄 것 같다.
봄날에 낮게 깔인 안개, 가을에 피어 흐르는 안개, 게다가 아침안개, 저녁안개, 밤 안개, 여러 가지 안개가 있다. 안개에 휩싸인 희미한 풍경은 정서적인 정취이다. 단지 안개는 환상적으로 아름다워도 사진으로 찍어보면 맘에 들지 않는 실패로 이어지기 쉬운 상대하기 어려운 피사체다. 게다가 안개의 수명은 짧다. 바람이 불자마자 지워지고 아침안개는 해가 뜨자마자 지워져 버린다.
따라서 안개촬영은 만나는 순간에 승부를 걸어야 한다. 언제나 신속한 행동이 필요하다. 안개 가운데 촬영할 경우는 우선 안개의 깊이를 느낄 수 있게 하는 피사체를 바로 오게 할 것, 이 포인트가 뚜렷하게 찍히면 배경이 하얗게 피어나 안개 느낌이 난다. 안개 속에서 찍을 때는 광각으로, 그 외에 찍을 때는 망원이 유효하다. 안개도 눈과 같이 분위기를 내기 쉬운 기상현상이다. 즉 망원보다 광각, 표준까지의 초점거리가 유효하다. 망원으로는 뭐가 뭔지 알 수 없게 돼 버리기 쉽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안개 밖에서 노리는 경우는 망원계를 살릴 수 있다. 즉 엷은 수증기 덩어리를 압축시켜 찍을 수 있다고 하는 방법이다. 주안점은 노출보정으로 밝은 안개에서 +1 조리개, 어두운 안개에서 +1/2 조리개 정도를 가늠해서 보정한다.
2. 빛이 약한 안개 낀 산림의 역광 촬영
이 경우 전체적으로 빛의 강약이 없으므로 쉐도우 부와 하프 톤 부를 중앙부 중점 측광하여 전체가 어두운 이미지는 피한다. 또 색채가 없으면 노출을 - 0.3정도로 보정하여 산림을 연무 톤으로 표현한다.
3. 아침 해를 역광으로 받은 안개 촬영
11월 상순은 밤안개가 피어 아침 해가 오르면 절정에 이르고 황금색으로부터 시시각각 변한다. TTL노출일 경우 정상노출은 부족 되기 쉬우므로 약간 + 보정한다. 입사노출이라면 -2/3정도 보정하면 무난하다.
4. 만추의 부나림 안개 촬영
깊은 가을 단풍잎이 일부 달린 너도밤나무 숲에 안개가 피어오를 때 노출은 나뭇잎에 적정 노출하든지 안개 분위기를 살려 + 0.5 ~ + 1 단 오버 노출한다. 안개노출은 상태에 따라 민감하므로 좋은 찬스를 만나면 브라케팅하는 것이 상책이다.
5. 아침 안개가 핀 산 계곡 촬영
해가 뜨면서 해가 어느 각도에 이르면 빛줄기가 나타났다 사라진다. 이 순간을 잡는다. 역광의 안개는 명암차가 심하고 아침 광량도 순간 변한다. 이런 날 촬영은 수십 초간이 적시다. 노출은 표준노출에 + 1단 하고 +/- 0.5 단계 노출한다. 후레아 방지를 위해 후드에 두꺼운 종이로 차광하는 것이 좋다.
6. 녹색을 배경으로 내리는 비 촬영
비는 1/30 ~ 1/60초로 하면 빗방울 흔적이 표현된다. 녹색을 back으로 좀 언더로 하려니 - 0.5 보정 한다. 렌즈 보호를 위해 투명 비닐커버를 덮는다. 비오는 날은 화면에 극단적 노출 차가 없으므로 보정을 안 해도 된다
7. 겨울 안개 및 설화 촬영
겨울 안개는 지표의 수증기가 서려 생기는 것은 다 아는 바인데 이 모두는 미세한 얼음이므로 태양에 쏘이자마자 녹아 없어진다. 그렇지만 빛을 받은 상태가 제일 아름답다고 하는 피치 못할 운명을 갖고 있다. 그래서 촬영 시간은 해가 나온 직후 5분전 후 승부를 걸어야 한다.
서리와 함께 설화는 표고 1000m 이상 고지의 명물이지만 기온이 영하 이하로 내려가 바람이 없이 안개가 낄 때는 틀림없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설화가 생기는 기상조건이 되면 전날부터 준비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노출 보정은 순광에서 대개 +2/3 조리개 정도가 좋다.
8. 기타
(1) 사용렌즈와 필름 그리고 삼각대
렌즈는 망원보다는 광각렌즈나 표준렌즈 쪽을 선택한다. 필름은 고감도 필름을 추천하며, 감도가 높을수록 입자가 거칠기 때문에 아름답게 피어오르는 물안개를 효과적으로 그림처럼 표현할 수 있다. 삼각대는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하며, 릴리즈도 반드시 준비한다. 새벽안개는 자연광이 상당히 부족하여 슬로우 셔터로 촬영해야 하므로 저속셔터를 위하여 앞의 두 가지는 필수요소인 것이다.
(2) 시간대 (촬영 타이밍)
물안개는 일출을 전후해 수면의 따뜻한 수온이 찬 공기와 만나 수증기로 응결되는 현상이다. 대개 늦가을이나 초봄에 물안개가 자주 나타나는 계절이므로 날씨에 대한 정보를 고려해야한다. 전국의 댐 주변은 특히 물안개 지대로 유명하다. 그러나 매일 물안개를 만나기는 힘들므로, 반드시 일기예보를 확인하여 타이밍을 맞추도록 노력한다.
(3) 노출
좋은 사진을 얻으려면 여러 번의 브라케팅을 하는 것이 필수이다. 주변의 노출을 정확히 측정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가급적 셔터우선으로 촬영하며, 삼각대를 사용해야 한다.
Point : 심도를 얕게 하여, 환상의 세계를 연출한다.
① 안개 속의 피사체를 찍을 경우, 안개가 빛을 차단해 버리기 때문에 노출계 에 의존하 면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안개의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노출계가 나타내는 수치 보다 조리개를 1-2스텝 열어 놓는 것이 좋다. 눈 오는 날에도 마찬가지이다.
② 제일 좋은 것이 그레이 카드나 앞 경치의 중간조의 부분을 노출계로 재는 것이다.
③ 가장 안개가 끼기 쉬운 곳은 물가이다. 또 촬영시간은 이른 아침이 좋다. 태양이 떠 서 대기가 따뜻해지면, 밤사이에 낀 안개가 걷히기 때문이다.
④ 강력한 형태를 찾을 것. 하얀 안개를 배경 삼아 검은 실루엣으로 뚜렷하게 부각되는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⑤ 광량은 부족한 듯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감도 필름을 준비할 것. 특히 이른 아침의 타임(T셔터)노출에 대비하여 삼각대를 가지고 다닐 것.
9. 추천장소
안개는 가을에 많이 피지만 알고 보면 겨울에도 피어오른다. 안개를 테마로 정하고 의암호부터 양수리~ 북한강을 거슬러 올라 가보면 좋을 것 같다.
(1)산정호수
상봉터미널에서 운천까지 가는 버스를 타고 운천에서 산정호수 까지 가는 버스를 탄다.
승용차 : 의정부-포천-38선휴게소지나 8km
(2)분원 안개마을
강변역에서 광주행 좌석버스, [번천]정류장하차. 분원리행 버스나 택시이용(1만원쯤) 승용차 : 중부고속도로 광주IC 번천방면(혹은 43번 국도로 번천리까지) 에서 도마리 방면 2.4km지나 308번 지방도로우회전 3.2km지나 광동리 사거리에서 좌회전 하자마자 왼편으로 왕복2차선 도로
** 자료 출처 : ‘빛을 담는 사람들의 모임’ 까페 자료실.
            
                    
                    
안개촬영 이론자료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 다양한 상황에서의 안개촬영 요령 >
1. 물안개 촬영 요령
기온이 급강하 하면 강가에 물안개는 실로 환상적이다. 그래도 안개를 만나면 다행이지만 안개주의보를 듣고 나가도 현지엔 안개 씨도 없을 때가 허다하다. 또 안개는 현지에서 기다려야지 한 순간이 지나면 맥없이 사라진다. 이렇게 쉽지 않은 안개촬영이지만 그래도 때만 잘 만나면 보람을 느낄 것 같다.
봄날에 낮게 깔인 안개, 가을에 피어 흐르는 안개, 게다가 아침안개, 저녁안개, 밤 안개, 여러 가지 안개가 있다. 안개에 휩싸인 희미한 풍경은 정서적인 정취이다. 단지 안개는 환상적으로 아름다워도 사진으로 찍어보면 맘에 들지 않는 실패로 이어지기 쉬운 상대하기 어려운 피사체다. 게다가 안개의 수명은 짧다. 바람이 불자마자 지워지고 아침안개는 해가 뜨자마자 지워져 버린다.
따라서 안개촬영은 만나는 순간에 승부를 걸어야 한다. 언제나 신속한 행동이 필요하다. 안개 가운데 촬영할 경우는 우선 안개의 깊이를 느낄 수 있게 하는 피사체를 바로 오게 할 것, 이 포인트가 뚜렷하게 찍히면 배경이 하얗게 피어나 안개 느낌이 난다. 안개 속에서 찍을 때는 광각으로, 그 외에 찍을 때는 망원이 유효하다. 안개도 눈과 같이 분위기를 내기 쉬운 기상현상이다. 즉 망원보다 광각, 표준까지의 초점거리가 유효하다. 망원으로는 뭐가 뭔지 알 수 없게 돼 버리기 쉽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안개 밖에서 노리는 경우는 망원계를 살릴 수 있다. 즉 엷은 수증기 덩어리를 압축시켜 찍을 수 있다고 하는 방법이다. 주안점은 노출보정으로 밝은 안개에서 +1 조리개, 어두운 안개에서 +1/2 조리개 정도를 가늠해서 보정한다.
2. 빛이 약한 안개 낀 산림의 역광 촬영
이 경우 전체적으로 빛의 강약이 없으므로 쉐도우 부와 하프 톤 부를 중앙부 중점 측광하여 전체가 어두운 이미지는 피한다. 또 색채가 없으면 노출을 - 0.3정도로 보정하여 산림을 연무 톤으로 표현한다.
3. 아침 해를 역광으로 받은 안개 촬영
11월 상순은 밤안개가 피어 아침 해가 오르면 절정에 이르고 황금색으로부터 시시각각 변한다. TTL노출일 경우 정상노출은 부족 되기 쉬우므로 약간 + 보정한다. 입사노출이라면 -2/3정도 보정하면 무난하다.
4. 만추의 부나림 안개 촬영
깊은 가을 단풍잎이 일부 달린 너도밤나무 숲에 안개가 피어오를 때 노출은 나뭇잎에 적정 노출하든지 안개 분위기를 살려 + 0.5 ~ + 1 단 오버 노출한다. 안개노출은 상태에 따라 민감하므로 좋은 찬스를 만나면 브라케팅하는 것이 상책이다.
5. 아침 안개가 핀 산 계곡 촬영
해가 뜨면서 해가 어느 각도에 이르면 빛줄기가 나타났다 사라진다. 이 순간을 잡는다. 역광의 안개는 명암차가 심하고 아침 광량도 순간 변한다. 이런 날 촬영은 수십 초간이 적시다. 노출은 표준노출에 + 1단 하고 +/- 0.5 단계 노출한다. 후레아 방지를 위해 후드에 두꺼운 종이로 차광하는 것이 좋다.
6. 녹색을 배경으로 내리는 비 촬영
비는 1/30 ~ 1/60초로 하면 빗방울 흔적이 표현된다. 녹색을 back으로 좀 언더로 하려니 - 0.5 보정 한다. 렌즈 보호를 위해 투명 비닐커버를 덮는다. 비오는 날은 화면에 극단적 노출 차가 없으므로 보정을 안 해도 된다
7. 겨울 안개 및 설화 촬영
겨울 안개는 지표의 수증기가 서려 생기는 것은 다 아는 바인데 이 모두는 미세한 얼음이므로 태양에 쏘이자마자 녹아 없어진다. 그렇지만 빛을 받은 상태가 제일 아름답다고 하는 피치 못할 운명을 갖고 있다. 그래서 촬영 시간은 해가 나온 직후 5분전 후 승부를 걸어야 한다.
서리와 함께 설화는 표고 1000m 이상 고지의 명물이지만 기온이 영하 이하로 내려가 바람이 없이 안개가 낄 때는 틀림없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설화가 생기는 기상조건이 되면 전날부터 준비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노출 보정은 순광에서 대개 +2/3 조리개 정도가 좋다.
8. 기타
(1) 사용렌즈와 필름 그리고 삼각대
렌즈는 망원보다는 광각렌즈나 표준렌즈 쪽을 선택한다. 필름은 고감도 필름을 추천하며, 감도가 높을수록 입자가 거칠기 때문에 아름답게 피어오르는 물안개를 효과적으로 그림처럼 표현할 수 있다. 삼각대는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하며, 릴리즈도 반드시 준비한다. 새벽안개는 자연광이 상당히 부족하여 슬로우 셔터로 촬영해야 하므로 저속셔터를 위하여 앞의 두 가지는 필수요소인 것이다.
(2) 시간대 (촬영 타이밍)
물안개는 일출을 전후해 수면의 따뜻한 수온이 찬 공기와 만나 수증기로 응결되는 현상이다. 대개 늦가을이나 초봄에 물안개가 자주 나타나는 계절이므로 날씨에 대한 정보를 고려해야한다. 전국의 댐 주변은 특히 물안개 지대로 유명하다. 그러나 매일 물안개를 만나기는 힘들므로, 반드시 일기예보를 확인하여 타이밍을 맞추도록 노력한다.
(3) 노출
좋은 사진을 얻으려면 여러 번의 브라케팅을 하는 것이 필수이다. 주변의 노출을 정확히 측정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가급적 셔터우선으로 촬영하며, 삼각대를 사용해야 한다.
Point : 심도를 얕게 하여, 환상의 세계를 연출한다.
① 안개 속의 피사체를 찍을 경우, 안개가 빛을 차단해 버리기 때문에 노출계 에 의존하 면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안개의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노출계가 나타내는 수치 보다 조리개를 1-2스텝 열어 놓는 것이 좋다. 눈 오는 날에도 마찬가지이다.
② 제일 좋은 것이 그레이 카드나 앞 경치의 중간조의 부분을 노출계로 재는 것이다.
③ 가장 안개가 끼기 쉬운 곳은 물가이다. 또 촬영시간은 이른 아침이 좋다. 태양이 떠 서 대기가 따뜻해지면, 밤사이에 낀 안개가 걷히기 때문이다.
④ 강력한 형태를 찾을 것. 하얀 안개를 배경 삼아 검은 실루엣으로 뚜렷하게 부각되는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⑤ 광량은 부족한 듯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감도 필름을 준비할 것. 특히 이른 아침의 타임(T셔터)노출에 대비하여 삼각대를 가지고 다닐 것.
9. 추천장소
안개는 가을에 많이 피지만 알고 보면 겨울에도 피어오른다. 안개를 테마로 정하고 의암호부터 양수리~ 북한강을 거슬러 올라 가보면 좋을 것 같다.
(1)산정호수
상봉터미널에서 운천까지 가는 버스를 타고 운천에서 산정호수 까지 가는 버스를 탄다.
승용차 : 의정부-포천-38선휴게소지나 8km
(2)분원 안개마을
강변역에서 광주행 좌석버스, [번천]정류장하차. 분원리행 버스나 택시이용(1만원쯤) 승용차 : 중부고속도로 광주IC 번천방면(혹은 43번 국도로 번천리까지) 에서 도마리 방면 2.4km지나 308번 지방도로우회전 3.2km지나 광동리 사거리에서 좌회전 하자마자 왼편으로 왕복2차선 도로
** 자료 출처 : ‘빛을 담는 사람들의 모임’ 까페 자료실.
'사진 에 관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진 에 대한 질의 내용 (0) | 2008.08.07 | 
|---|---|
| [스크랩] 포토샵 강좌 67가지 (0) | 2008.08.07 | 
| [스크랩] 안개사진촬영 (0) | 2008.08.04 | 
| [스크랩] 디카 촬영법 DSLR 노하우 (0) | 2008.05.22 | 
| 카메라 랜즈청소 (0) | 2008.03.10 |